어리석은 사람
사람들은 자신이 현명하다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어리석은 삶을 살아가고 있다.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할 때 사제들이 자주 인용되는 이야기가 있다. 아침에 황소를 끌고 시장에 나간 사람이 그걸 염소와 바꾸고 그걸 다시 강아지를 거쳐 오리 한 마리와 바꾸고, 집으로 돌아올 때에는 달걀 하나를 손에 들고 있더라는 이야기가 있다. 정신 나간 사람이 아니라면 도저히 있을 수 없는 그야말로 황당무계한 이야기 같지만, 곰곰이 되돌아보면 우리는 지금까지 그런 식의 어리석은 거래를 하면서 삶을 살아왔다.
삶은 어떻게 보면 끊임없는 거래의 연속이다. 그리고 거래는 서로의 흥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특히 자신에게 이익이 있다고 판단할 때 이루어진다. 그런데 실수는 사소한 물건을 사고 팔 때에는 보통 일어나지 않는다. 참으로 아이러닉하게도 중대한 국면을 결정하는 순간에 오히려 자기가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며 그것을 위해 자기가 어떻게 행동하고 무엇을 지불하고 있는지를 잘못 판단해서 거래를 망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내가 얻고자 하는 가치를 명확히 알지 못하면 실수 하는 경우가 많다. 참으로 귀한 것일수록 숨겨져 있는 것이 하느님의 섭리이다. 예수님께서도 하느님의 나라는 ‘묻혀 있는 보물’이요, ‘안목이 있는 사람에게만 눈에 뜨이는 값진 보석'이라고 비유하셨다. 진정으로 가치가 있는 것은 평범한 사람들의 눈으로는 쉽게 구분되지 않는 것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만약 가치를 잘못 판단해서 잘못된 거래라는 것을 알았다면 즉시 거래를 정리해야 한다. 당장 손해를 보는 한이 있더라도 더 큰 이익을 위해서 멈추어야한다. 그런데 우리들은 흥정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아도 멈추려고 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을 전체적으로 바꾸거나 되돌아가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어려워한다. 그래서 대부분은 관성적으로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잠시 멈추고 돌아보는 것은 어렵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문제는 잘못되었다고 알았을 때, 얻은 것과 그것을 위해 치른 것을 정확히 따져보고, 그것을 다시 찾아서 우리의 삶 속에 다시 되돌려놓아야 한다.
우리가 열심히 살아가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때로는 가족들을 희생하면서 사는 것에 대해서는 한번쯤 돌아보아야 한다. 가정과 자녀들에게 베풀어야 할 사랑을 희생하면서까지 밖에서 성취해야만 할 일이 어떤 것이 있을까? 그리고 사람들과의 관계와 협조 정신을 해치면서까지 추진해도 좋은 사업이라는 것이 어떤 것이 있는가? 그리고 일하는 사람을 소모품처럼 취급하면서 상품을 더 싸게 생산해서 이익을 극대화한다고 해서 행복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이런 질문을 내 자신에게 수시로 물어보아야 한다. 어리석은 사람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예수님이 하신 말씀을 꼭 기억하면서 살아가야 한다.
“사람이 온 세상을 얻고도 제 목숨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사람의 제 목숨을 무엇과 바꿀 수 있겠느냐?”(마태 1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