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체성혈 대축일
이번 주일은 성체성혈 대축일인데, 신앙인에게 있어서 성체성사는 신앙생활의 가장 핵심이다. 성체성사는 예수님의 최후의 만찬에서 시작되었으며, 구원의 역사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사도 바오로는 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했고 당신의 서간문을 통해서 명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빵이 하나이므로 우리는 여럿일지라도 한 몸입니다. 우리 모두 한 빵을 함께 나누기 때문입니다”(1고린 10,17)
예수님의 삶에서 식사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것은 함께 먹고 마시는 것을 통해서 사람들과 하나가 되려는 노력을 하셨기 때문이다. 당신의 가르침을 통해서 민중들이 변화가 되시길 바라셨던 예수님께서는 제자들 곁을 떠나실 때가 가까워지면서 최후의 만찬을 통해서 성체성사의 의미를 남겨주시면서 당신의 의중을 정확하게 말씀하셨다.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아버지, 아버지께서 제 안에 계시고 제가 아버지 안에 있듯이, 그들도 우리 안에 있게 해 주십시오. 우리가 하나인 것처럼 그들도 하나가 되게 하려는 것입니다”(요한 17,21-22)
그런데 예수님의 식탁에 초대된 사람들은 놀랍게도 여러가지 이유로 유대공동체에서 소외되고 멸시받던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훗날 성서를 기록한 마태오가 그랬고 세관장이었던 자캐오가 그랬다. 예수님은 버림받은 사람들과 어울려 식사를 하심으로써 식사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 주셨다. 그런 그분의 가치와 행동은 당시로는 파격적이었던 것은 식사는 비슷한 성향을 갖고 있는 사람들과 갖는 것이 상식이었기 때문이다. 죄인들과 함께 식사를 한다는 것은 그들 상식에서는 도저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고 사람들로부터 지지를 받기에도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예수님은 다르셨다. 그동안 당연하다고 여겼던 일들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꿰뚫어보시고 행동으로 지적하신 것이다. 그리고 당신을 따르는 제자들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행동과 말씀으로 분명하게 가르쳐주셨다. 루가복음 14장에서 “네가 점심이나 저녁 식사를 베풀 때, 네 친구나 형제나 친척이나 부유한 이웃을 부르지 마라. 그러면 그들도 다시 너를 초대하여 네가 보답을 받게 된다. 네가 잔치를 베풀 때에는 오히려 가난한 이들, 장애인들, 다리저는 이들, 눈먼 이들을 초대하여라”고 분명히 말씀하고 계신다.
이 말씀 안에서 세속의 자녀와 하느님의 자녀를 분명하게 구분하고 계시는 것이다. 같은 하느님을 아버지로 모시는 형제들이 함께 모여서 빵과 포도주를 나누어 마시는 미사가 바로 하느님나라의 잔치인 것이다. 식사로서의 미사는 이를 위한 훈련의 장소와 시간이며, 이런 반복적인 훈련은 우리가 물질 및 정신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예수님이 원하시는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리고 그분의 뜻을 반드시 따라야만 한다. 그래서 매주 혹은 매일 참여하고 있는 성체성사의 현장이 중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