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에 갈 때 올바른 자세
프랑스의 작가 모파상은 그가 쓴 소설 <여자의 일생> 속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신앙에 열심히 하던 리쏜 숙모가 하느님에 대해서 궁금해하던 어린 조카에게 하느님을 깊이 사랑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얘기했다. 숙모의 이야기를 듣던 조카는 작은엄마에게 이렇게 물었다. “작은엄마, 하느님은 어디에 계시나요?”
작은엄마는 “저기 저 하늘에, 하지만 착한 하느님께서는 꼭 교회에만 계시는 것은 아니고 우리가 있는 어디에든 함께 계시단다.”라고 답을 해주었다.
모파상은 그의 작품을 통해서 하느님이 하늘에 계심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우리 곁에 늘 계시다는 것도 강조했다. 그런데 우리가 구태여 우리 곁에 계시는 하느님을 교회까지 가서 만나는 이유는, 믿음을 작은 정성으로나마 증거하기 위함이며 교회는 하느님이 머물고 계시는 하느님의 집이란 점을 강조하고 있다. 교회는, 찾아가는 우리의 믿음을 통해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회개할 기회와 죄를 용서받을 기회와 기쁨을 제공해 주고 우리로 하여금 스스로 찾게 해주는 희망의 장소가 된다. 그러기에 거룩한 마음으로 하느님을 뵙는다는 단단한 마음과 태도의 준비 없이 교회를 가는 것은 의미가 없다.
여기서 어머니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 늦게 세례를 받으셨지만, 어머니의 신심은 남들과 다를 정도로 열심히 하셨고 음식으로 치면 정갈한 맛을 갖고 있는 신앙인 이셨다. 어머니는 주일 봉헌금으로 항상 새 돈을 준비하셨다. 만약 갖고 있는 신권이 없으면 가지고 계신 돈 중에서 상태가 좋은 돈으로 골라서 다리미로 다려서 매일미사책 사이에 넣어서 성당에 갖고 가셔서 봉헌하셨다. 언젠가 이유를 물어보자, 주일 봉헌금을 정성 없이 준비하는 것이 싫어서라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주일미사를 가실 때는 새벽에 꼭 목욕하셨다. 그리고 상태가 제일 좋으면서도 너무 화려하지 않은 옷을 입고 성당에 가셨다. 어머니가 입고 가신 옷은 예쁜 옷이나 값비싼 옷을 의미하진 않았다. 하느님을 만나는데 결례가 되지 않는 정도의 옷으로 되도록 전례에 맞는 색깔을 맞추려고는 노력하셨다. 깨끗한 몸으로, 깨끗한 옷차림으로, 정성어린 봉헌금을 준비해서 하느님을 뵙는다는 것은 허영이나 사치를 풍기는 태도와는 거리가 멀다. 이것은 하느님을 대하는 당연한 자세라고 생각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회개하고, 죄를 용서받고 영성체로 예수님과 하나가 되는 기쁨을 얻게 되는 거룩한 장소이다. 그러기에 교회를 드나들면서 마음과 외모가 준비되지 않는다는 것은 큰 결례를 범하는 것으로 결코 바람직한 모습이 절대로 아니다. 그런 일들이 습관이 되면 자신의 믿음에 흠결이 생기는 것이다. 그동안 몰라서 아니면 알면서도 귀찮아서 그런 행동을 반복했다면 지금부터라도 바꾸어 나갔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